MFI 지표는 RSI 와 매우 유사하게 과 매도 ( 20 이하 )/ 과 매수 ( 80 이상 )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RSI 지표와는 다르게 거래량을 추가하여 더욱 강력하고 확실한 매매 신호를 포착할 수 있다.
1. MFI 지표란
MFI ( Money Flow Index ) 는 1970 년대 후반 제라드 애플먼(Gerald Appel) 이 개발한 기술적 지표로 현재의 가격의 움직임과 거래량까지 더하여 그 값을 표시한다. 이 결과값이 80 이상이면 과 매수, 20 이만이면 과 매도 상태를 의미하며 각각의 상태에 따라 매매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거래량을 제외하면 RSI 와 계산 방법이 매우 유사하여 RSI 와 비슷한 컨셉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다만 거래량과 같이 고려 되므로 MFI 지표가 표시하는 과 매수 / 과 매도 상태는 강력한 힘이 동반된다고 판단 할 수 있습니다.
2. MFI 지표 계산 방법
MFI 의 입력값은 RSI 와 동일하게 기간만 입력 받는다. 기본값은 14로 설정되어 있다.
RSI 와 거래량 이외에 차이점은 RSI 는 직전의 변화율에서 현재의 변화율을 추가하여 계산한다면 MFI 는 최근 14일간의 Data 만으로 계산을 한다.
즉 RSI 는 EMA 계산 방식과 유사하고 MFI 는 SMA 계산 방식과 유사하다.
3. RSI 지표와 차이점.
RSI 와 MFI 의 계산 방식은 유사하므로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신호는 나타내는 경우도 많이 있다.
RSI 는 EMA 와 유사한 계산 방식으로 과거의 Data 가 남아 있다 그래서 연속적인 한가지 방향으로의 Candle 이 나타나더라도 과 매수 / 과 매도 신호를 나타내지 않는다.
하지만 MFI 지표는 최근 14일 Candle 만 고려하므로 연속적인 한 방향으로 Candle 이 나타나면 과 매수 구간으로 판단한다. 위 이미지에서 MFI 단독으로 과 매수 / 과 매도를 표현하는 구간에서 상승폭은 크지 않지만 연속적인 상승 또는 연속적인 하락 의 Candle 이 존재한다.
4. MFI 지표를 활용한 매매전략.
RSI 지표와 유사하므로 RSI 와 비슷한 방법으로 접근하여 매매 전략을 세우면 된다.
[ 과 매수 / 과 매도 시점의 역 추세 매매 ]
MFI 값이 20 이하일 때 과 매도로 판단하고 매수 진행하고, 80 이상 일 때 매도를 진행하면 된다. 정확한 시점은 20 이하 될 때 진입이 아니라 20이하에서 20이상 될 때 진입하는 것이 좋다. Short 시점 역시 80 이상에서 80 이하로 진입 할 때 Short 진입하는 것이 좋다.
익절 구간은 매수 (Long) 일 때는 80 이상 일 때 매도, Short 일 때는 20 이하 일 때 포지션 종료 하는 것이 좋다.
즉 진입 시 추세 확인 후에 진입하고 종료 시 고점에서 종료 하는 전략이다.
[ 다이버전스를 이용한 역 추세 매매 ]
위와 같이 금액은 점점 상승하는데 MFI 값은 점점 하락할 때 매수의 힘이 약해진다 판단할 수 있다. 매수 (Long) 일 경우 매도할 수 있고, Short 포지션 진입도 가능하다.
RSI 지표와 같이 다이버 전스를 확인한다면 추세의 크기도, 거래량에 따른 힘도 모두 약해진 상태이므로 좀더 정확한 조정 또는 추세 반전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5. 결론.
MFI 지표는 역시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다른 지표와 마찬가지로 MFI 지표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지표와 함께 사용한다면 매우 유용한 지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