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D 지표는 제럴드 아펠(Geraid Appel) 에 의해 개발 되었고, 토마스 아스프레이가 오실레이터를 추가 하였습니다.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식의 흐름을 판단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1. MACD 지표 계산
MACD 를 계산 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수이동 평균선(EMA) 계산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Signal 선은 MACD 결과 값을 단순이동평균선(SMA) 계산과 동일하게 계산 된다.
[ 입력값 ]
– 단기 지수 이동 평균선 ( EMA ): 기본값 12
– 장기 지수 이동 평균선 : 기본값 26
– Signal 선 : 기본값 9
[ 출력값 ]
– MACD 선 : 단기이동평균 – 장기 이동평균
– Signal 선 : MACD 를 설정 값 만금 이동평균(SMA)계산함
– Histogram 막대 : MACD – Signal
2. MACD 지표의 해석 매매 전략
[ MACD 변화에 따른 매매 ]
MACD 지표에서 매매 방법은 MACD 선과 시그널 선이 골든 크로스 될 때 매수 또는 Long Position 진입하면 된다. 이후 매도 시점은 MACD 선과 시그널 선이 데스크로스 될 때 매도 진해한다.
여기서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의 상태를 표현한 것이 Histogram 막대이다. 해당 값이 양의 값을 갖게 되면 매수, 음의 값을 갖게 되면 매도를 진행한다.
하지만 횡보 추세에서는 너무 잦은 변화를 나타내게 되며 이는 곧 잘못된 매매 신호를 보내게 된다.
[ 다이버전스를 이용한 매매 ]
RSI 지표와 마찬가지로 MACD 도 다이버전스가 출현한다.
실제 가격은 오르는데 MACD 값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더 이상 매수 세가 유지되지 못하고 조정이 오거나 추세 반전이 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가격은 지속적으로 내려가지만 MACD 가 상승한다면 이 역시 매도세가 약해져 반등이 오거나 상승 추세로 전환을 의미할 수 있다.
[ 선행 지표로서 역할 ]
아래의 차트는 EMA 12, 26 선의 데드크로스와 MACD 의 데드크로스를 비교해보면 MACD 지표의 데드크로스가 보다 빠르게 나타난다. 이동 평균선 보다 더욱 빠르게 매수 / 매도 신호를 나타내게 된다.
3. 다른 지표의 보조역활로서 매매 전략.
[ 이동 평균선 매매의 매도 역할 ]
앞서 MACD 는 이동 평균선의 선행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MACD 는 너무 잦은 변화를 나타내고 잘못된 매수 신호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위와 같이 이동 평균선을 이용하여 추세 진행이 더욱 강력할 때 매수 진행하고 MACD 를 이용하여 조금 더 고점에서 빠르게 매도를 진행한다면 단순히 이동평균선 만을 이용할 때 보다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엘리어트 파동이론시 파동 카운드 ]
엘리어트 파동이론 적용시 파동 카운트는 쉽지 않다. 하지만 MACD 를 이용하면 현재 파동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개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4. 마치며
MACD 지표는 Histogram 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추세를 표현하여 가장 빠르게 현재 추세를 파악 할 수 있다. 횡보장에서 MACD 는 잘못된 신호를 매우 많이 발생해 매매의 키 값으로 사용은 다수 부적합하지만 다른 지표의 보조적인 역할로 매우 훌륭한 보조 지표임은 틀림없다
자주 묻는 질문(FAQs)
1) MACD 는 어떤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나요?
MACD 를 계산하는 기본 지표는 지수이동평균(EMA) 입니다.
2) MACD 의 양의 값과 음의 값이 의미하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MACD 는 두개의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계산 되는데 골든 크로스 일 때 양의 값, 데드 크로스 상태일 때 음의 값을 갖습니다. 즉 양의 값일 경우 상승 추세 음의 값일 때 하락 추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